최근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내린 역대급 폭우로 축구장 1만3000여개 넓이의 농작물 재배지가 물에 잠기고 34만마리의 가축이 폐사했습니다. 노지 채소 등 생산량 차질이 우려되면서 다소 진정세를 보이던 먹거리 물가 또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1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이번 집중호우로 인한 전국 농작물 재배지 침수 면적은 9522㏊(헥타르·1㏊는 1만㎡)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축구장(0.714㏊) 1만3000개가 넘는 면적으로, 품목별로는 벼 피해 면적(7456㏊)이 가장 컸습니다. 이어 콩(486㏊)과 고추(309㏊)를 비롯해 수박(116㏊), 포도(99㏊) 등 과일·과채류도 침수 피해를 보았습니다.
이 외에도 농경지 유실·매몰 88ha, 축사 침수·파손 약 21ha, 가축 폐사 33만9000마리 등의 피해도 발생했다. 이는 지난 7일부터 10일까지 파악된 잠정치로, 추후 집계 결과에 따라 피해 규모가 커질 수 있다는 전망입니다.
집중호우로 인한 병충해 확산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지난달부터 고랭지 배추와 무 등 밭작물 중심으로 시듦병과 무름병 등 병충해가 발생하고 있는데, 이번 집중호우로 더 확산할 수 있습니다.
집중호우로 인한 생산량 감소와 품질 저하는 최근 진정세를 보이던 채소류 가격을 다시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한국개발연구원(KDI)의 ‘기상 여건 변화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날씨로부터 오는 충격은 소비자 물가 상승에 단기적인 영향을 끼치며 이것은 신선식품 가격 상승에 주로 기인한다고 합니다.
실제 지난달 출하지 확대 등으로 하락세를 보인 배추 등 채소류 가격은 이달 본격적인 장마철에 접어들면서 큰 폭으로 뛰고 있습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10일 기준 시금치 소매 가격은 100g에 1338원으로 한 달 전(770원)보다 74% 올랐으며, 같은 기간 상추 소매 가격은 100g에 891원에서 1227원으로 38% 상승했습니다. 7월 상순(1~9일) 기준으로 보면, 전달 대비 시금치 45.8%, 오이 35.3%, 상추 29.1%, 배추 17.9% 등으로 상승했습니다.
농식품부는 이번 집중호우로 인한 농산물 피해가 당장 수급이나 가격 불안으로 이어질 상황은 아니라면서도 향후 수급 문제는 장담할 수 없다는 판단을 내놓았습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채소류 등 가격의 전월 대비 상승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는 전년 동월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면서도 “향후 장마와 폭염 등 기상 상황에 따른 수급 불안정 위험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농촌경제연구원 관계자도 “여름철 집중호우가 반복되면 농가에서 즉각적인 피해 복구가 쉽지 않다”며 “농산물의 생산량 감소만 아니라 상품성이 떨어지는 물량이 늘면서 피해가 커질 수 있다”고 말헸습니다.
이에 소비자는 농산물 가격 상승에 대한 자세를 어떻게 취하는 것이 좋을까요?
날씨 충격은 단기적으로 신선식품 가격을 중심으로 소비자물가를 상승시키기도 합니다. 하지만, 근원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현재 지구온난화로 여름철 기온이 상승하고 이로 인한 집중호우, 가뭄 등 기상 여건이 빈번하게 변화할 뿐만 아니라 변화의 강도도 확대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이 때문에 신선식품을 중심으로 단기적인 물가 불안이 더 자주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해졌습니다.
*근원물가: 식품과 에너지 부문을 뺀 다른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화만으로 측정해서 산정한 인플레이션 지표이다.
식품과 에너지 가격은 일시적인 외부 공급 충격에 따른 변동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이를 제외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만을 보는 것이 장기적인 물가 추세를 예측하는 데 유용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가령 배추와 같은 채소는 재배면적이 늘어나면 가격이 폭락하고, 반대로 가뭄이나 홍수 등으로 작황이 좋지 않은데 추석 성수기 등을 맞아 공급보다 수요가 갑자기 늘어나면 가격이 일시적으로 폭등하곤 한다.
휘발유나 경유도 국제적 분쟁으로 공급이 달리면 국제유가가 급등하고, 반대로 기후가 예상보다 따뜻해져 겨울철 수요가 감소하면 유가가 급락하기도 한다.
이처럼 등락이 심한 농산물 가격이나 국제원자재 가격 등의 변동 부분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계산에서 제외하는 것이 물가의 추세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는 것이다.
실제 농산물이나 국제원자재를 포함한 소비자물가지수 그래프의 기울기는 등락이 심한 데 반해 근원물가지수 그래프의 기울기는 완만하게 나타난다.
하지만, 신선식품 가격 등 식료품 및 에너지 가격 변동에 따른 소비자물가와 근원물가 간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중기적으로는 소비자물가가 근원물가에 회귀하는 경향이 발견되었습니다.
즉, 물가의 기조적 흐름에는 별 영향이 없음을 의미하며, 일시적인 신 선식 품 가격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보고 있습니다.
최근 너무 많은 기사에서 집중호우 및 장마로 인해 상춧값 등의 가격이 높아졌다는 것과 함께 소비자 물가지수의 상승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서 소비자는 물가 상승의 불안감이 생기고 있는데요. 이는 일시적인 가격 변동일 뿐이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대체재를 찾아 소비하거나 해당 농산물의 소비를 줄이는 방향으로 가계 지출을 줄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현재 장마 이전과 대비하여 가격이 가파르게 올랐지만, 작년과 비교했을 때 낮은 가격으로 가격에 대한 인식을 높다는 것에 치중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이는 여름철 장마 시기에 해마다 등장하는 이슈로 이것에 대한 위기의식보다는 신선식품에 대한 지출을 줄이고 그에 대체할 만한 상품을 찾는 것이 필요해 보입니다.
소비자의 경우 한철 신선식품의 물가 상승에 대해 주기적으로 고충을 겪고 있습니다. 이에 제도적인 해결 방안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이것은 이러한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농산물 수입 확대와 같이 공급처를 다변화하는 등의 구조적인 방안을 모색하며, 기후 변화에 대응하여 품종 개량 등을 통해 기후 적응력을 높이는 것으로 장기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Easy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의 관광객 유입이 가지고 오는 현상 (0) | 2024.07.25 |
---|---|
올림픽이 가지고 오는 경제 효과 (0) | 2024.07.19 |
미국의 베이지북(Beige Book) (0) | 2024.07.17 |
가계 대출의 감소, 폭풍 전 전야 (0) | 2024.07.17 |
최저임금 인상이 가지고 오는 효과 (0) | 2024.07.17 |